현재 하동 산불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 계신가요?
2025년 3월 21일 경상남도 산청군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풍을 타고 하동, 진주까지 확산된 상황입니다.

하동 산불 내용 요약
✅️발생 시점:
2025년 3월 21
✅️최초 발생 지역:
경상남도 산청군 지리산국립공원 일대
✅️확산 지역:
산청군, 하동군, 진주시
✅️최신 상황:
강풍으로 인해 산불이 다시 확산되고 있으며, 산청과 하동 주민, 등산객에게 추가 대피령이 내려졌습니다.
3월 25일 17시 30분 기준, 산불 영향 구역은 38ha이며 진화율은 13%로 감소, 대응 2단계 발령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.
진주 지역의 산불은 3월 25일 18시 15분경 주불이 진화되었습니다.
현재 산불이 계속 확산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.
의성 산불-안동 하회마을
또한,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이 강풍을 타고 안동까지 확산되면서 세계문화유산인 하회마을이 위협을 받고 있습니다.
하회마을 주민들에게는 대피 명령이 내려졌으며, 2020년에도 안동 산불로 인해 하회마을이 큰 위기를 겪은 적이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.
의성 산불의 안동 하회마을 영향
✅️산불 확산:
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강한 바람과 '비화' 현상으로 인해 안동까지 번졌습니다.
※비화는 불똥이 상승기류를 타고 멀리 날아가 새로운 불씨를 만드는 현상을 말합니다.
✅️하회마을 위협:
산불이 계속 번지면서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 10km 앞까지 확산되었습니다.
✅️주민 대피 명령:
안동시는 25일 오후 하회마을 주민에게 대피령을 내렸으며, 안동시 전체 주민에게도 안전한 곳으로 대피할 것을 당부했습니다.
✅️문화유산 위기:
의성 산불이 안동까지 확산하면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인 안동 하회마을과 병산서원이 '풍전등화'의 위기를 맞았습니다.
✅️과거 피해 사례:
2020년 안동에 큰 산불이 발생했을 때도 병산서원과 하회마을이 큰 위기를 겪었습니다.
✅️산불 원인:
산불 발생 초기에는 순간 최대 초속 15m에 이르는 강풍이 불어 산불이 빠르게 확산되었습니다.
의성 산불이 안동 하회마을에 미치는 영향은 매우 심각하며, 문화유산 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대처가 필요한 상황입니다.